목록전체 글 (17)
백수모델#
9월 26일자 기사 4회 필기 시험 후기 무난히 평균 78점으로 합격이 예상되나, 수제비를 보고 스스로 정리한 노트는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 문제가 상당히 지엽적으로 나오며, 아직까지는 개정전 기출에서 나왔던 내용이 그대로 나온다. 5일동안 개념 정리가 아니라 기출을 풀었으면 훨씬 도움되었을 것이다.
조사방법론 II 01. 표본추출 방법 ● 총설 * 표본추출(Sampling) – 모집단의 부분으로서의 표본을 선택하는 행동 - 표본 : 모집단 분명 정의, 유사한 분포를 갖도록 추출 - 표본의 대표성 :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여 일반화가 가능한가 (통계적 추론 : 표본의 특성 à 모집단의 특성) - 가능한 확률표본추출 / 표본추출오차는 무조건 발생 - 장점 : 시간,비용 절감, 비표본오차 감소, 조사대상 오염방지 à 전수조사보다 정확성↑/ 전수조사 불가능 사용가능 - 단점 : 표본의 대표성 문제, 표본추출오차 발생 * 표본추출 개념 - 요소 : 분석의 기본이 되는 단위 - 우주 : 모든 요소가 포함되는 대상 > 모집단 - 모집단 :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 일반화하는 대상 - 표본추출단위 : 표본으로 선정..
조사방법론 I 01. 사회과학적 방법 ● 총설 * 과학적 방법 - 이론 à 가설 à 관찰 및 검증 à 일반화, 논리적 이론 정립 - 모든 현상과 사건(결과)에는 원인 à 목적 :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 보고, 기술(사실, 묘사, 통계), 설명(왜?), 예측(미래) - 특징 : 재생가능성 / 경험성(인간의 감각으로 지각) / 인과성(논리적) / 상호주관성(주관이 달라도 같은 설명, 방법, à 같은 결과 )객관성(간객관성) / 간결성(적은 수의 변수, 간결하게 설명) / 체계성 / 변화가능성 / 반증가능성 * 논리 전개 방식ㅈ - 연역법 : 이미 보편적 원리 à 현상에 연역 / 이론으로부터 현상에 대한 설명과 예측 이론à현상 가설 설정 à 조직화 à 관찰, 경험 à 검증 / 양적, 실증 연구, 가설검증..
● 1과목 : 직업상담학 * 보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모형 (탐 중 변) * 정신역동적 상담 상담기법 (명 비 소) * 특성 요인, 6단계 상담과정 (분 종 진 예 상 추) * 특성 요인, 상담 기법 ( 충 설 설 ) * 로저스, 인간중심, 상담자 기본 태도 3가지 ( 일 무 공) * 인지행동치료, ABCDEF 기법 * 비합리적 신념 뿌리, 당위성 (자 타 조) à 인지오류 : 흑백논리, 선택적 추상(여과), 의미확대 및 축소, 과잉일반화, 재앙화 * 인지치료, 대안적 사고 찾기 ( 절 재 인 ) * 행동주의, 체계적 둔감법 3단계 ( 근 불 단 ) * 행동주의 상담기법, (불 : 주 체 홍 ) (학 : 강 변 대 ) *펄스, 형태주의 상담 기법 (자 빈 뜨 꿈) * 의사교류분석, 3가지 자아(구조) ..
● 1과목 : 직업 상담학 * 정신분석상담, 방어기제 - 억압 : 고통스러운 생각을 무의식으로 밀어냄 - 거부(부인) : 무의시적으로 거부 - 투사 :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을 타인에게 투사 - 퇴행 : - 고착 - 합리화 : 여우와 신포도(목표 부정), 달콤한 레몬(가치 부여) - 반동형성 : 무의식적 행동을 의도와 다르게 반대로 행동 - 승화 : 용납될 수 없는 것을 용납되게 - 주지화 : 본능을 지적활동에 묶어둠 * 보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모형 (탐 중 변) - 탐색과 계약 : 정신역동적 상태 - 중대한 결정 - 변화를 위한 노력 * 정신역동적 상담 상담기법 (명 비 소) - 명료화 : 정신역동 명료화 - 비교 - 소망, 방어체제의 해석 : 내적동기와 직업의사결정 관계 인식 * 특성 요인, 6단계..

오늘에서야 실기 최종합격 통보를 받았다. 나름 심리학 전공생이라 그런지, 다 까먹었을 줄 알았는데, 대충 한번만 훝어보니 기억이 새록 새록 다시 올라와서 공부하기 편했다. 전공생이라면 매학기 마다 듣는 개념이라 조금만 공부하면 어렵지 않다. - 필기 합격 팁 10일 정도 공부했다. 직업심리학과 직업상담학은 분량이 많아서 인강드림의 유투브 무료강의를 통해 다시 들었다. 직업정보론과 노동시장론이 가장 쉽고 분량도 적어서 강의 안듣고 기출문제랑 인강드림 기본서 위주로 공부하니 별로 어렵지 않게 풀었다. 5과목인 노동관계법규가 좀 어렵고 양도 많아서 강의듣기도 벅차다. 그래도 기출에서 그대로 나오는 경우가 많으니 기출을 중심으로 학습하자 - 실기 합격 팁 7일정도 학습했다. 이번에도 강의는 인강드림에서 직업상담..
4과목 : 노동시장론 ● 노동시장의 이해 : * 노동수요, 결정요인 - 노동의 가격(임금) - 다른 생산요소의 크기 - 최종생산물의 수요, 가격 - 노동생산성 변화 - 기술진보 * 노동 한계생산물체감의 법칙 - 노동 한계생산물 : 노동이 1단위 추가투입 하였을 때, 늘어나는 총생산 증가분 - 처음에는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함 - 원인 : 다른 생산요소 고정, 노동만 증가 à 노동의 효율성 ↓ - 이윤극대화 : 한계비용 = 한계수입생산(= 한계생산물가치 = 한계생산량 x 제품가격) 일 때, 한계생산량이 = 한계생산물이랑 같게 노동량이 증가 했을 때 이윤 극대화 * 노동수요탄력성 - 노동수요임금탄력성 = 노동수요량의 변화율 / 임금의 변화율 - 노동수여탄력성이 적으면, 노조 교섭력이 강하다 à 임금협상 타결 ..
3과목 : 직업정보론 ● 직업정보의 제공 * 앤드류스, 정보의 호용 (형 시 장 소) - 형태효용 : 사용하기 쉬운 형태 - 시간효용 : 필요할 때 - 장소효용 : 접근성 - 소유효용 : 정보전달 통제, 누구나 다 알면 효용성↓ * 공공직업정보 vs 민간직업정보 * 미시정보 / 거시정보, 예시2가지 - 미시직업정보 : 학력, 자격요건, 임금, 자격증, 구인, - 거시직업정보 : 노동시장점보, 고용률, 실업률 * 브레이필드, 직업정보 기능 (정 재 동) - 정보제공 기능 : 직업 선택 도움 - 재조정 기능 : 선택을 현실에 맞추어 재조정 - 동기화 기능 : 직업선택에 대한 동기 강화, 책임감 * 직업정보 관리과정 (4단계 자 분 가 제 , 6단계 정 자 분 가 제 축 평) (정보요구 à) 자료수집 à 분석..